Software Engineering 32

[Android][Kotlin] jsoup로 HTML 파싱하기

요즘 그냥 재미로 안드로이드 앱을 만들고 있습니다. 학습 자료는 https://developer.android.com/courses/android-basics-kotlin/course 에서 제공하는 강의를 따라가는 중입니다. Android Studio에서 Kotlin을 사용해 진행됩니다. 친구가 로또 번호가 동행복권 홈페이지에 올라오면 입력했던 번호와 대조해서 결과를 notification으로 알려주는 앱을 만들어 보라 했는데, 일단 그 번호를 가져오는 방법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그래서 안드로이드 service와 notification 사용 방법을 알아야겠구나! 했는데, WorkManager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합니다. 추가로, 네트워크에서 웹페이지를 받아올 때 AsyncTask 대신에 ..

오픈소스 라이선스 정리

방송대 경진대회에 출품할 작품을 계획하다 보니 만들고자 하는 프로그램에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이(사실 전부) 오픈소스 라이브러리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참에 자세히 알아보고자 포스트를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어떤 창작물을 만들면, 최초 창작자가 저작권을 가지도록 저작권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저작권법에서 소스 코드는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이라는 용어로 지칭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원 저작자가 자신의 창작물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게 허락하거나, 일정 수준까지만 허락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부여하게 됩니다. 먼저 어떤 라이선스가 많이 쓰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20년 조사 자료이고, whitesourcesoftware.com에서 가져왔습니다. 아파치 2.0 - 28% MIT - 26% G..